넓이 우선 탐색(Breadth-Fisrt-Search)
Breadth First Search. 흔히 줄여서 BFS로 쓴다.
한국어 표기는 넓이 우선 탐색 또는 너비 우선 탐색.
너비 우선 탐색은 트리나 그래프를 방문 또는 탐색하는 방법이다. 탐색 방법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 표기는 넓이 우선 탐색 또는 너비 우선 탐색.
너비 우선 탐색은 트리나 그래프를 방문 또는 탐색하는 방법이다. 탐색 방법은 다음과 같다.
-
루트에서 시작한다.
-
자식 노드들을 [1]에 저장한다.
-
[1]에 저장된 노드들을 차례로 방문한다. 또한 각각의 자식들을 [2]에 저장한다.
-
[2]에 저장된 노드들을 차례로 방문한다. 또한 각각의 자식들을 [3]에 저장한다.
-
위의 과정을 반복한다.
-
모든 노드를 방문하면 탐색을 마친다.
BFS는 갈림길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길을 한번씩 탐색한 뒤 다시 연결되어 있는 모든 길을 넓게 탐색하는 것을 볼 수 있다.
DFS와의 가장 큰 차이로, 여러 갈래 중 무한한 길이를 가지는 경로가 존재하고 탐색 목표가 다른 경로에 존재하는 경우 DFS로 탐색할 시에는 무한한 길이의 경로에서 영원히 종료하지 못하지만, BFS의 경우는 모든 경로를 동시에 진행하기 때문에 탐색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BFS는 한 갈림길에서 연결되는 모든 길을 한번씩 탐색하기 때문에 가중치가 없는 그래프에서는' 시작점에서 끝점까지의 최단경로를 알아낼 수 있다. 위 움짤의 BFS의 탐색 순서를 살펴볼 때 1번 노드에서 직접 연결된 곳은 2번, 3번, 4번 노드이다. 여기 있는 모든 경로의 길이를 1이라고 한다면, 1번에서 2번, 3번, 4번 노드까지의 길이는 1이다. 똑같은 방법으로 모든 노드 사이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시작점과 끝점이 주어진다면 주어진 그래프(네트위크)에서 최단 경로를 알아낼 수 있다.
깊이 우선 탐색(Depth-First-Search)
Depth First Search. 흔히 줄여서 DFS로 쓴다.
트리나 그래프에서 한 루트로 탐색하다가 특정 상황에서 최대한 깊숙이 들어가서 확인한 뒤 다시 돌아가 다른 루트로 탐색하는 방식이다. 대표적으로 백트래킹에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재귀호출을 사용하여 구현하지만, 단순한 스택 배열로 구현하기도 한다. 구조상 스택 오버플로우를 유의해야 한다.
갈림길이 나타날 때마다 '다른 길이 있다'는 정보만 기록하면서 자신이 지나간 길을 지워나간다. 그러다 막다른 곳에 도달하면 직전 갈림길까지 돌아가면서 '이 길은 아님'이라는 표식을 남긴다. 그렇게 갈림길을 순차적으로 탐색해 나가다 목적지를 발견하면 그대로 해답을 내고 종료.
단순 검색 속도 자체는 BFS에 비해서 느리다. 하지만 검색이 아닌 순회(traversal)를 할 경우는 많이 쓰인다. DFS는 특히 리프 노드에만 데이터를 저장하는 정렬 트리 구조에서 항상 순서대로 데이터를 방문한다는 장점이 있다. 백트래킹에 사용되는 이유도 공통 상위를 가지는 아래 리프 노드들을 한방에 잘라내버리는게 가능하기 때문이다.
자동 미로 생성에 많이 사용되는 알고리즘이기도 하다. 방향은 무작위로 해서 계속 뚫다가 막혀서 못 뚫으면 뚫을 수 있는 곳이 발견될 때까지 되돌아가서 다시 뚫고, 또 막히면 되돌아가고 이런 식으로 무한히 반복하다 보면 생긴다. 게다가 이 방식으로 미로를 만들면 빠져나가는 경로 또한 단 하나만 생긴다.
유향그래프에서 사이클이 있는지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어떤 한 노드에서 간선을 따라 방문하다 보면 자기 자신으로 돌아올 수 있는 경로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갈림길이 나타날 때마다 '다른 길이 있다'는 정보만 기록하면서 자신이 지나간 길을 지워나간다. 그러다 막다른 곳에 도달하면 직전 갈림길까지 돌아가면서 '이 길은 아님'이라는 표식을 남긴다. 그렇게 갈림길을 순차적으로 탐색해 나가다 목적지를 발견하면 그대로 해답을 내고 종료.
단순 검색 속도 자체는 BFS에 비해서 느리다. 하지만 검색이 아닌 순회(traversal)를 할 경우는 많이 쓰인다. DFS는 특히 리프 노드에만 데이터를 저장하는 정렬 트리 구조에서 항상 순서대로 데이터를 방문한다는 장점이 있다. 백트래킹에 사용되는 이유도 공통 상위를 가지는 아래 리프 노드들을 한방에 잘라내버리는게 가능하기 때문이다.
자동 미로 생성에 많이 사용되는 알고리즘이기도 하다. 방향은 무작위로 해서 계속 뚫다가 막혀서 못 뚫으면 뚫을 수 있는 곳이 발견될 때까지 되돌아가서 다시 뚫고, 또 막히면 되돌아가고 이런 식으로 무한히 반복하다 보면 생긴다. 게다가 이 방식으로 미로를 만들면 빠져나가는 경로 또한 단 하나만 생긴다.
유향그래프에서 사이클이 있는지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어떤 한 노드에서 간선을 따라 방문하다 보면 자기 자신으로 돌아올 수 있는 경로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DFS는 단지 현 경로상의 노드들만을 기억하면 되므로 저장 공간의 수요가 비교적 적다. 그리고 목표 노드가 깊은 단계에 있을 경우 해를 빨리 구할 수 있다. 하지만 해가 없는 경로에 깊이 빠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실제로는 미리 지정한 임의 깊이까지만 탐색하고 목표 노드를 발견하지 못하면 다음 경로를 따라 탐색하는 방법이 유용할 수 있다. 그리고 얻어진 해가 최단 경로가 된다는 보장이 없다. 이는 목표에 이르는 경로가 다수인 문제에 대해 깊이우선탐색은 해에 다다르면 탐색을 끝내버리므로, 이때 얻어진 해는 최적이 아닐 수 있다는 의미이다.
'Computer Science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적 계획법(Dynamic Programming, DP) (0) | 2022.05.17 |
---|---|
탐욕 알고리즘(Greedy Algorithm) (0) | 2022.05.13 |
병합정렬, 힙정렬(Merge sorte, Heap sort) (0) | 2022.05.06 |
버블정렬(bubble sort), 퀵정렬(quick sort) (0) | 2022.04.27 |
완전탐색(Exhaustive Search), 이분탐색(Binary Search) (0) | 2022.04.05 |